컬럼 및 기고

  • 홈 >
  • 커뮤니티 >
  • 컬럼 및 기고
컬럼 및 기고
[기고] 인천 지역예술 담론장 형성 제안한다 운영자 2025-10-15
  • 추천 0
  • 댓글 0
  • 조회 22

http://www.icymca.or.kr/bbs/bbsView/210/6570016

[기고] 인천 지역예술 담론장 형성 제안한다

인천일보 2025.09.30

 

 

예술 평론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는 예술작품을 평가하고 가치를 전달하는 일이다. 예술작품을 평가하려면 평가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예술작품을 평가할 보편적인 기준이 있었다고 할 수 있으나 현대에 들어와서는 보편적인 기준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이는 아서 단토(Arthur Danto)가 이야기했듯이 예술을 규정하는 단일한 담론이 없어졌다는 것이다. 예술의 신 뮤즈는 이미 죽었다. 더 이상 예술은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게 되었다. 더불어 예술작품의 의도를 전달하는 것도 할 수 없게 되었다. 롤랑 바르트( Roland Gérard Barthes) 가 작가의 죽음을 말했듯이 작가의 의도를 해석한다거나 풀이하는 것조차도 의미가 없어졌다. 이제 평론은 예술작품을 평가할 수도 의미를 전달할 수도 없게 되었다.

 

예술 종말의 시대에서 평론은 자신의 역할을 다시 재정립해야 한다. 이는 각 예술가가 스스로 예술철학을 세우고 예술의 의미를 정립해야 하듯이, 평론은 평론가 스스로 예술의 기준을 세우고 예술작품의 의미를 창조해야 한다. 예술작품의 의미를 평론이 새로이 만들어내고 구성하면, 평론 자체가 또 다른 영역의 문학이자 창조 작업이 된다. 이미 예술작품은 물성이나 현상으로서의 작품이 아니라 의미와 철학 자체가 예술이 되는 개념예술의 시대가 왔기 때문이다. 평론을 통해 새로이 만들어지는 예술작품의 의미와 철학은 또 다른 예술이 창조되고 있음을 말한다. 그럼에 평론은 의미를 창조하고, 그럼으로써 개념예술로서 예술작품이 되어야 한다.

 

과거 평론의 역할이 예술작품을 평가하고 나아갈 바를 제시함으로써 예술장의 발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해왔다면 이제는 새로운 예술적 의미를 제시하고 예술작품으로서 영역을 넓혀감으로써 예술의 발전을 도모해야 하며, 이는 예술담론장에서 하나의 역할을 맡게 됨을 의미한다. 평론은 예술가들을 가르치고 방향을 제시하는 선장의 역할을 하는 것을 내려놓고, 다른 예술가와 마찬가지로 의미와 주장을 제시하고 함께 토론하고 논의하면서 예술장의 발전을 도모해 나가야 함을 의미한다. 그렇게 평론을 자유로운 주장과 창조로 본다면 전문평론가와 대중은 예술담론장에서 상호 발언자로서 만날 수 있다.

 

지역 예술의 발전을 위해서 평론이 필요하다는 주장들은 줄곧 있었으나 지역에 제대로 평론이 작동할 예술담론장이 존재하지는 못했다. 지역예술이라는 협소한 지형이라는 단점에, 활동할 평론가들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 탓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평론의 벽이 높아 자유로운 참여를 무의식적으로 제한한 탓이기도 하다. 예술 평론의 시대 변화에 맞추어 평론이 세칭 고급 전문가의 활동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대중들의 시각과 언술을 가치 있게 받아들여야 한다. 플라톤식 이데아는 종말을 고하고, 시뮬라크르( simulacre, 가상) 만이 존재하고 있음을 받아들여야 한다. 다양한 말들이 소각되지 않고, 살아 움직이며 부딪힐 수 있는 담론장이 있어야 한다. 디지털 시대는 접근성이 좋은 담론장들을 만들 기회이다.

 

지역예술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내에서 지역예술에 대한 이야기들이 먼저 활성화되어야 한다. 지역예술에 대한 이야기가 활성화되고 시민들이 참여한다는 것은 단순히 예술에 대한 담론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지역예술이 예술 엘리트들에 의해 점령당해왔던 비민주적 양태를 전복하는 길이기도 하다. 담론들이 형성되지 못하면 사람들의 인식에서 지워지고, 관심에서 멀어지게 된다. 언어화하지 못한 존재는 보이지 않는 존재와 마찬가지로 사라질 운명을 삼켜야 한다.

 

/차성수 인천YMCA 사무처장

 

https://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305055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다음글 [기고] 지속가능한 지역예술에 민간예술단 지원 필수 운영자 2025.09.30 0 39